전체 글 (32)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세스 종료하기 응답이 없는 프로세스나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려면 해당 프로세스의 PID를 알아야 합니다. ps -ef나 ps aux 명령으로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하면 PID와 PPID를 알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데는 kill이나 pkill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명령들은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내어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시그널 시그널은 프로세스에 무슨 일이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입니다. 이 메시지에는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알려주는 상수를 사용합니다. 시그널은 번호로 분류되고, 각각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그널을 받은 프로세스는 기본적으로 종료됩니다.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시그널의 목록은 kill -l 명령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모든 SIG 리스트입니다. 종류가 굉장히 많은데, 주요 시그.. 프로세스 관리 명령 (2) pgrep 명령으로 특정 프로세스 정보 검색하기 pgrep 명령은 ps와 grep을 하나로 통합하여 만든 명령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grep 명령은 기본적으로 인자로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는 프로세스를 찾아내 PID를 알려주는데, 지정한 옵션에 따라 검색 내용이 다양해집니다. pgrep * 기능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는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 형식 : pgrep [옵션] 패턴 * 옵션 -x : 패턴과 정확히 일치하는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n :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가장 최근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u 사용자명: 특정 사용자에 대한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l : PID와 프로세스 이름을 출력한다. -t term : 특정 단말기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 .. 프로세스 관리 명령 (1) 프로세스 관리와 관련된 명령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목록을 보는 명령, 특정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는 명령, 프로세스를 가제로 종료하는 명령이 있습니다. 또한 리눅스 GUI인 그놈의 '시스템 감시' 툴에서도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종료할 수 있습니다. 각 명령의 사용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세스 목록 ps * 기능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 형식 : ps [옵션] * 옵션 : -e :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f : 프로세스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u uid : 특정 사용자에 대한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p pid : pid로 지정한 특정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한다. a : 터미널에서 실행한 프로세스의 정.. 특수 접근 권한 지금까지 살펴본 권한은 일반적인 접근 권한입니다. 리눅스에서는 일반적인 접근 이외에도 특별한 접근을 제공하는데, 이를 특수 접근 권한이라고 합니다. 직전 게시글에서 다뤘던 umask 값을 출력 했을 때 총 4자리의 숫자가 나온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각각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진 3개의 숫자를 제외한 가장 좌측에 있는 숫자가 바로 특수 접근 권한 숫자에 해당합니다. 권한의 종류는 총 3가지로 SetUID, SetGID, 스티키 비트가 있는데, 가장 중요한 스티키비트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스티키 비트 파일을 생성한 계정으로 소유자가 설정되고,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파일은 삭제할 수 없는 접근 권한입니다.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자면,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한다는 뜻입니다. 즉, 자기가 만든 것만 삭.. 기본 접근 권한 설정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기본 접근 권한이 자동적으로 설정됩니다. 일반 파일의 경우 소유자(UID)와 그룹(GID)에게는 읽기(r), 쓰기(w) 권한이 설정되고, 기타 사용자(OTHER)에게는 읽기 권한(r)만 설정됩니다. 디렉터리의 경우 소유자와 그룹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설정되고 기타 사용자에게는 읽기, 실행 권한만 설정됩니다. 예시를 하나 보시겠습니다. ubuntu.txt 라는 텍스트 파일을 하나 만들고, temp 라는 디렉터리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각각 접근권한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 접근 권한은 리눅스 시스템에 설정된 값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값을 수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본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변경하기 umask - 기능 : 기.. Ubuntu 설치하기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가상머신 vmware 를 먼저 다운로드 해야합니다. 해당 링크로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 제품 카테고리 하단의 "모든 제품 보기" 클릭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최하단 가까이 내려가보면 Workstation Player 를 볼 수 있습니다. 무료 다운로드 클릭 해당 화면에서 GO TO DOWNLOADS 클릭 자신의 운영체제에 해당하는 파일 다운로드를 누르면 vmware 는 다운로드가 완료됩니다. 이제 우분투를 다운로드할 차례입니다.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중앙 상단에 Download에 마우스를 올립니다. 그리고 우분투 데스크탑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해당버전을 다운로드 해줍니다. 빠르면 5분정도 안에 다운로드가 완료될겁니다.. 셸 사용하기 (1)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셸(SHELL) 이란 리눅스 커널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해석해 관련 명령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셸을 통해 리눅스를 만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셸은 유닉스 초기부터 제공되었고,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현재 리눅스의 기본 셸로 제공되는 배시(BASH) 셸은 유닉스의 셸인 본 셸과의 호환성도 유지하면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여 리눅스, 유닉스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습니다. 셸은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대표적으로 명령어 해석기 기능, 프로그래밍 기능,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단 셀의 기본적인 기능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 전에 현재 사용중인 셸을 확인해봐야 하는데, 가장 쉬운 .. vi 환경 설정 vi는 사용자가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set 명령을 제공합니다. 보통 3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exrc 파일로 저장한다. 환경 변수 EXINIT에 지정한다. vi의 마지막 행 모드에서 명령으로 설정한다. 환경설정은 set 명령에 옵션을 넣는데, 자주 사용하는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set 명령과 옵션 기능 set nu 파일 내용의 각 행에 행 번호를 표시한다. (보이기만 하고 저장은 되지 않는다.) set nonu 행 번호를 감춘다. set list 눈에 보이지 않는 특수문자를 표시한다. (tab, :, ^, |, $ 등) set nolist 특수문자를 감춘다. set showmode 현재 모드를 표시한다. set noshowmode 현재 모드를 감춘다. set s..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