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2)
1차원 배열 배열은 연속된 데이터를 묶어서 저장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배열은 코드를 한번 보는 것이 이해하기에 더 좋기 때문에 코드를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차원 문자열 배열 // 아래 str 배열은 3열으로 이루어져있음 // 1차원 배열은 왼쪽에 [] 를 꼭 넣어주어야 함 // 배열은 index 값부터 접근하기 때문에 0부터 시작함 // 첫번째 배열 아무개는 0, 홍길동은 1, 이순신은 2가 됨. // index 0, 1, 2 를 가진 총 3열의 str 배열이라는 의미 String str[] = { "아무개", "홍길동", "이순신" }; System.out.println(str[0]); System.out.println(str[1]..
반복문 (while, do-while 문) while, do-while 문은 for문과 흐름은 비슷하지만 사용하는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로 한번 보시겠습니다. System.out.println("while 문"); int init = 0; while (++init
반복문 (for 문) 반복문은 같은 문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가령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 출력해야 하는 일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우리가 맨 처음에 배웠던 System.out.println(); 을 이용하면 어떻게든 출력은 가능할 겁니다. 아래와 같이요.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2); System.out.println(3); System.out.println(4); System.out.println(5); System.out.println(6); System.out.println(7); System.out.println(8); System.out.println(9); System.out.println(10); 우리가 원하던 1~10까지 출력하는 코드입..
지역변수와 전역변수의 이해 지역변수는 말그대로 지역내에서만 통용되는 변수를 이야기합니다. 해당 변수는 특정 공간을 벗어나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좀 쉽게 예를 들자면, 우리가 유럽에 갔다고 치겠습니다. 유럽 국가마다 통용되는 언어가 각자 정해져있는데, 우리가 거기서 한국말로 소통하려하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한마디도 알아듣지 못할겁니다. 하지만 영어는 어떨까요? 최소한 의소소통 하는데에 문제는 없을겁니다. 어딜 가든 내가 원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소통하는 것이 가능할 겁니다. 지역변수와 전역변수는 이러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역변수는 해당하는 지역에서만 활동할 수 있는 반면, 전역변수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게 아주 정확한 맥락은 아니지만, 당장은 이정도 흐름만 이해하시면 지역변수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겁니다. 간단..
변수 기초 다지기 모든 언어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변수입니다. 이 변수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냐 없냐로 개발자의 역량이 갈린다고 해도 무방할겁니다. 해당 카테고리에서는 간단하게 리뷰겸 자바의 기초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package j20220712; public class Val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변수 -> 변하는 수를 의미한다. 자바는 기본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해석한다. * 변수에는 다양한 type가 존재한다. int, String, Char 등이 있다. * */ String name = "홍길동"; System.out.println(name); int age = 20; System.out.println(age); char f..
TCP/IP 프로토콜 구조 TCP/IP의 전체적인 구조입니다. 구글에 표로 정리된 것도 많지만 한번에 알아보기에는 좋지 않은 것 같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리피터, 허브, 스위치의 구조 1계층인 물리계층의 네트워크 장비에는 리피터와 허브가 있습니다. 리피터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 통신하는 상대방이 멀리 있을 때 리피터를 사이에 넣어 파형을 정상적으로 돌림 요즘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도 지원하기 때문에 따로 사용하진 않음 허브 컴퓨터에서 보낸 전기 신호가 허브에 도착하는 동안 노이즈의 영향으로 파형의 변경이 발생할 때가 있는데, 그때 허브가 파형을 정상으로 돌려놓음 컴퓨터를 여러대 연결하는 장치이기도 하지만 한대만 연결해도 사용에 무리가 없음 다만 허브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특정 포트로 부터 데이터를 받으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모든 연결 포트로도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점입니다. 이 점 때문에 허브는 더미 허브라고도 불립니다. 허브는 스..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카드의 구조 (1) 전기신호란? 전기신호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입니다. 굉장히 익숙한 단어인데, 막상 설명하기에 모호한 단어들이죠.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아날로그 신호는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입니다. 주로 전화기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됩니다. 디지털 신호는 각진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비연속적 신호입니다. HDMI, MIDI, AC'97과 같은 표준화된 신호들은 모두 디지털 신호입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측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 전송하고, 수신 측 컴퓨터는 해당 전기 신호를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합니다. 랜카드란? 전기신호는 랜카드가 변환시켜 줍니다. 가정집에 있는 데스크탑을 보면 LAN 선을 연결한 부분이 있을 겁니다. 그게 바로 메인보드에 탑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