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d와 런레벨
앞에서 살펴보았듯, 런레벨은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리의 숫자입니다. 이에 대응하는 systemd의 target 유닛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런레벨 | target 파일(심벌릭 링크) | target 원본 파일 |
0 | runlevel0.target | poweroff.target |
1 | runlevel1.target | rescue.target |
2 | runlevel2.target | multi-user.target |
3 | runlevel3.target | |
4 | runlevel4.target | |
5 | runlevel5.target | graphical.target |
6 | runlevel6.target | reboot.target |
런레벨이니 target 파일이니 여간 생소한 단어가 아닌데, 단어가 어려울 뿐입니다. 자세한건 아래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target과 런레벨 확인하기
현재 target을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graphical.target. 즉, 현재 런레벨이 5라는 이야기입니다. 바꿔서 이야기하면,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우분투는 런레벨이 5라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target 변경하기
systemd에서 런렙레을 변경하는 것은 isolate 명령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ulti-user.target (런레벨 3)으로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systemctl isolate multi-user
또는,
systemctl isolate runlevel3
가 되겠습니다. 사실 multi-user는 2,3,4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multi-user 로 전환할 때는 런레벨 3을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예시를 위와 같이 들었습니다.
이를 런레벨 5로 다시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systemctl isolate graphical
또는,
systemctl isolate runlevel5
로 작성하면 됩니다.
런레벨 0, 6번 같은 경우에는 각각 시스템 종료, 재부팅에 해당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종료 또는 재부팅은 뒤에 다룰 shutdown 명령으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런레벨 1에 해당하는 rescue.target은 특수한 상황에 사용됩니다. 시스템에 모종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점검을 위해 사용되는 런레벨입니다.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만 사용해야 하고, 해당 모드로 돌입하기 전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모두 로그아웃을 해야합니다.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패키지 설치 (0) | 2022.05.26 |
---|---|
리눅스 시스템의 종료 (1) | 2022.05.25 |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1) (0) | 2022.05.21 |
프로세스 종료하기 (0) | 2022.05.20 |
프로세스 관리 명령 (2) (0) | 2022.05.20 |